본문 바로가기

올바른 스트레칭5

한 쪽 다리가 저릴 때, 좌골신경통 치료를 위한 이상근 스트레칭 방법 허리디스크 환자가 아닌데도 계속 다리 저림 증상을 느낀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디스크 검사를 해도 이상이 없는데, 자꾸 한쪽 다리가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상황에선 좌골신경통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좌골신경통이란 이상근(Piriformis, 궁둥 구멍근)의 단축으로 인해 좌골신경(Sciatic nerve, 궁둥 신경)이 눌려 한쪽 다리가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다리 저림 증상으로 인해 많이들 오해하고 디스크로 대충 넘겨짚는 경우가 많다. 오늘은 좌골신경통이 무엇이고, 필자의 전공과목인 기능해부학을 바탕으로 한 정확한 이상근 스트레칭을 통해 좌골신경통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다리 저림 증상을 나타내는 좌골신경통 좌골신경통이란 앞서 말했듯이 이상근(Piriformis, 궁둥 .. 2022. 10. 26.
어깨 뭉침 해결책, 올바른 상부 승모근 스트레칭 디테일 알아보기 뒷 목이 뻐근할 때나 어깨에 담 걸린 것 같을 때, 우리는 당연하게 어깨를 주무른다. 그러나 어깨를 주무르는 것이 무엇을 주무르는 것인지, 주무르는 것이 맞는 건지도 모르면서 말이다. 이러한 행동은 어려서부터 자연스레 어르신들의 어깨를 주물렀던 행동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오랜 작업을 끝마치거나 잠을 잘못된 자세로 자면 우리는 목에 담 온다거나 어깨가 뭉친다라고 쉽게 얘기한다. 또한, 승모근 뭉친다는 표현도 자주 한다. 이러한 얘기들을 종합해보면 우리는 목이나 어깨의 뭉침이 있을 때, 무의식 중에 승모근을 자주 주무른다는 것과 승모근은 쉽게 뭉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뭉친 승모근을 위해서는 어떤 스트레칭을 어떻게 해주어야 하는지 알아보겠다. 어깨 뭉침의 주원인, 상부 승모근 (.. 2022. 10. 7.
스트레칭 후에 해주면 더욱 좋은 근육 냉각의 효과 스트레칭을 매일 해도 원상태로 돌아가는 근육 건강한 근육을 위한 꾸준한 관리 조직 길이의 변화와 새로 얻게 된 관절 가동범위에 대해 근육이 적응하지 못한 상태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스트레칭, 즉 신장 운동은 항상 천천히 자주 진행해주어야 한다. 하루 이틀 우리가 스트레칭을 한다고 해서 원하는 만큼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우리는 근육을 24시간 내내 사용한다. 그렇게 고생하는 근육이 10분, 20분의 스트레칭으로 완벽히 늘어나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욕심이 분명하다. 올바른 스트레칭 방법과 함께 관리의 중요성이다. 스트레칭으로 인한 신장된 근육의 손상 스트레칭을 통해 우리가 근육 조직을 늘리는 과정에 있어서 손상 없이 진행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아무리 스트레칭을 부드럽게 진행했다고 .. 2022. 10. 1.
운동 전 올바른 WARM-UP 순서, 정적 워밍업 vs 동적 워밍업 운동 전 몸풀기, 워밍업 WARM-UP 필요성 워밍업은 운동을 하기 전,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부분이다. 부상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자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것이 바로 워밍업이다. 아무리 우리가 운동을 조심해서 한다고 해도, 스포츠라는 종목의 특성상 언제 어떤 식으로 다칠 위험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우리 몸을 컨트롤해줄 수 있는 근육은 항상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우리는 몸풀기, 즉 워밍업을 통해 조직 손상의 위험성과 근육통을 줄이고, 안전한 운동을 준비할 수 있다. 그렇다면 워밍업을 해야 하는 건 알겠는데 '워밍업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고, 어떤 순서로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오늘 설명하겠다. 정적인 워밍업 vs 동적인 워밍업 몸을 풀기에 앞서, 정적인 워밍업과 동적인 ..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