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공부20 중추신경계 염증 질환, 다발성경화증 특성 및 증상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중추신경계 축삭 주변의 지방성 말이집을 감싸는 부분이 손상을 입어서 탈수질환과 흉터형성으로 이어지는 염증 질환이다.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시각 손상, 마비, 근육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가족력으로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다발성 경화증의 특성 및 증상 등을 알아보겠다.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D)이란?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다발성 경화증은 자가면역질환이기 때문에 환자 자신의 세포와 조직을 면역체계가 공격하게 된다. 아직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의 복.. 2023. 3. 22. 뇌수막염 검사 방법(브루진스키 징후, 케르니히 징후) 뇌수막염 환자에게 가장 자주 실시하는 검사 방법으로는 브루진스키 징후 검사와 케르니히 징후 검사가 있다. 브루진스키 징후 검사란 환자가 누워있는 자세에서 머리를 들면 고관절, 무릎 관절, 발목 관절에서 굽힘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반면 케리니히 징후란 환자가 누워있는 자세에서 고관절을 굽힌 상태에서 무릎을 135도 이상 신전시키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번 글에서는 뇌수막염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검사 방법인 브루진스키 징후와 케르니히 징후에 대해 알아보겠다.뇌수막염 검사 (뇌수막염, Meningitis)뇌수막염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면 뇌의 수막에 생기는 염증으로 수막염이라고도 한다. 다양한 원인으로 감염과 염증이 거미막하(subarachnoid)에 발생한다. 폐렴구균, 수막구균, B군 연쇄상구균 등의 원인균에.. 2023. 3. 7. 대뇌백색질 신경섬유 손상으로 발생하는 질병 대뇌백색질의 신경섬유에는 연합섬유, 교련섬유, 투사섬유가 있다. 대뇌백색질의 신경섬유가 손상되면 발생하는 질병이 신경섬유 별로 각각 다르다. 연합섬유, 교련섬유, 투사섬유의 위치, 기능을 알아보고, 각각의 신경섬유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목차 1. Association fiber(연합섬유) i. Association fiber(연합섬유)란 무엇인가? ii. Association fiber(연합섬유) 손상으로 인한 질병 iii. VD; (혈관성 인지증) 2. Commissural fiber(교련섬유) i. Commissural fiber(교련섬유)란 무엇인가? ii. Commissural fiber(교련섬유) 손상으로 인한 질병 iii. Alzheimer’s disease 3. Pr.. 2023. 2. 11. MBI 보행 평가와 FIM 걷기 항목 평가 방법 일상생활동작 ADL을 평가하는 도구로 자주 사용되는 MBI와 FIM은 직접적인 관찰과 면답으로 대상자의 의존 정도를 평가한다. 이번 글에서는 MBI와 FIM의 다양한 항목 중 보행, 걷기와 관련된 항목의 평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MBI 보행 평가방법 ① 1단계(0점) - 스스로 보행할 수 없는 경우 (보행을 할 수 없으며 보행을 위해서는 두 명의 도움이 필요하다), 보행으로 평가하지않고 휠체어 항목을 평가함 ② 2단계(3점) - 보행동안 계속 최소 한 명 이상의 도움이 필요하다 (보행을 위해 최대한 도움이 필요하다) ③ 3단계(8점) - 보행보조기구에 도달하거나 보조기구의 조작에 도움이 필요하다.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한명이 필요하다. (보행보조기구에 도달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하고, 직선으로 된 .. 2023. 1. 2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