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공부20 면역 반응의 특성(특이성, 기억작용, 인지작용)과 T 세포, B 세포의 작용기전 면역이란 체내 효율적 방어를 위한 체계적 시스템으로, 몸 안에 들어온 병원체인 항원에 대하여 항체가 만들어져 다음에 같은 항원이 침입하여도 다시 발병하지 않도록 저항력을 가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면역의 특성으로는 특이성, 기억작용, 인지작용 3가지가 있으며, 이 특성들로 면역 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 면역 반응의 특성 3가지 면역 반응의 특이성 첫 번째 면역의 특성인 특이성은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반댓말인 비특이성은 항원의 구분 없이 반응하는 것이다. 면역의 특이성 작용은 랜덤한 물질에 대한 반응이 아님으로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특이적인 면역 반응은 항원에 대해 특정 항체를 생산함으로 다른 물질에 대해서 반응하지 않고, 전제 조건을 요구하기 때문에 면역의 부작용도 최소화.. 2022. 10. 28. 다른 부상이 의심될 때 심폐소생술, 다발성 손상 환자의 응급처치 우선순위 알아보기 심폐소생술은 응급상황 시 가장 우선적으로 다뤄야 하는 응급처치이다. 그런데 의문점은 다른 머리나 척추 같은 부위의 부상이 의심되는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도 심폐소생술을 하는 게 맞는 것인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부위의 부상이 우려될 때 심폐소생술을 해도 되는지에 대한 정답은 무조건 심폐소생술을 먼저 실시한다는 것이다. 오늘은 왜 응급처치 순서에서 우선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하고 이후에는 어떤 처치를 해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부상 의심 환자의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 환자를 응급처치 함에 있어서 심폐소생술은 교과서와 같다. 그런데 머리나 척추의 부상이 의심되거나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 사람들은 고민하게 된다. 왜냐하면 머리나 척추와 같은 부위의 부상이 의심되면 함부로 움직이거나 건드리면 .. 2022. 10. 18. 글라스고우 혼수척도의 대뇌제거 강직 자세와 겉질제거 강직 자세의 개념, 증상, 진단 알아보기 대뇌 제거 강직 (Decerebral rigidity) 1. 대뇌제거 강직 개념 대뇌제거 강직(decerebrate rigidity)은 뇌줄기(brain stem)의 중간뇌(Mid branin)와 피라미드 바깥길(추체외로, Extrapyramidal tract)의 손상으로부터 발생한다. 대뇌의 전반적인 손상, 중간뇌 부위까지의 손상으로 인해 겉질 제거 강직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 상지와 하지 모두 폄근의 근육 긴장(muscle tone)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됨을 보여준다. 대뇌제거 강직은 혼수상태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의식 수준 평가척도로 유명한 글라스고우 혼수 척도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대뇌제거 강직 자세는 Glasgow coma scale(글라스고우 혼수 척도)의 운동 반사 영역 2점에 해.. 2022. 10. 11. 염증(Inflammation)의 정의, 특징, 예시를 알아보자 염증을 달고 사는 우리, 염증이란 무엇일까? 염증이 생긴 것 같다는 말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정말 자주 사용한다. 사실 사람의 몸에서 염증이 없는 상황은 없다.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염증을 가지고 산다. 염증이 불편함을 만들어내거나 특이적 문제를 일으켰을 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당연하지만, 염증은 사실 우리 몸을 위해 싸우는 보호작용, 즉 항상성의 대표주자이다. 항상성에 대해서는 저번 포스트에서 한 번 다뤘으니 보고 오면 도움 될 것이다. 오늘은 항상성 작용의 대표적인 예인 염증의 정의, 특징, 예시에 대해 알아보겠다. Inflammation 염증 1. 염증의 정의 염증(inflammation)이란 내부, 외부의 자극으로 인해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일어나게 되는 면역반응이다. 염증은 신체의 다.. 2022. 10. 9. 이전 1 2 3 4 5 다음